토종 격인 네이버나 다음은 그렇지 못합니다만, 구글과 야후를 비롯한 외산 검색포털들은 개인 및 기업의 웹사이트 관리자가 직접 자신의 사이트를 어필할 수 있도록 웹마스터 도구를 제공합니다.
먼저 대표적인 툴은 아래와 같습니다. 한국은 좀 예외입니다만, 일본의 경우 이 세 사이트를 잡으면 대충 90% 잡았다고 보시면 됩니다.
그리고 여러 검색포털에 하나의 사이트맵을 재활용해서 등록하려면 대다수가 지원하는 표준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.
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sitemaps.org에서 제공하는 표준입니다.
위와 같은 포맷으로 사이트맵을 정리하시면 야후 사이트 익스플로러와 빙 웹마스터 도구에 모두 올릴 수 있습니다.
그리고 구글에 올릴 때에도 위와 동일하지만 urlset 엘리먼트의 xmlns 값만
로 바꿔주시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아마 그대로 올려도 될 듯 한데.. 구글이 별도로 스키마를 관리하는 이유는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.
먼저 대표적인 툴은 아래와 같습니다. 한국은 좀 예외입니다만, 일본의 경우 이 세 사이트를 잡으면 대충 90% 잡았다고 보시면 됩니다.
- 구글 웹마스터 도구 - https://www.google.com/webmasters/tools/
- 야후 사이트 익스플로러 - https://siteexplorer.search.yahoo.com/
- 빙 웹마스터 센터 - http://www.bing.com/webmaster/
그리고 여러 검색포털에 하나의 사이트맵을 재활용해서 등록하려면 대다수가 지원하는 표준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.
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sitemaps.org에서 제공하는 표준입니다.
<?xml version='1.0' encoding='UTF-8'?>
<urlset xmlns="http://www.sitemaps.org/schemas/sitemap/0.9">
<url>
<loc>http://www.weblab.tistory.com</loc>
<lastmod>2009-11-20</lastmod>
<changefreq>monthly</changefreq>
<priority>0.9</priority>
</url>
<url>
<loc>http://weblab.tistory.com/183</loc>
<lastmod>2009-09-24</lastmod>
<changefreq>monthly</changefreq>
<priority>0.6</priority>
</url>
</urlset>
<urlset xmlns="http://www.sitemaps.org/schemas/sitemap/0.9">
<url>
<loc>http://www.weblab.tistory.com</loc>
<lastmod>2009-11-20</lastmod>
<changefreq>monthly</changefreq>
<priority>0.9</priority>
</url>
<url>
<loc>http://weblab.tistory.com/183</loc>
<lastmod>2009-09-24</lastmod>
<changefreq>monthly</changefreq>
<priority>0.6</priority>
</url>
</urlset>
위와 같은 포맷으로 사이트맵을 정리하시면 야후 사이트 익스플로러와 빙 웹마스터 도구에 모두 올릴 수 있습니다.
그리고 구글에 올릴 때에도 위와 동일하지만 urlset 엘리먼트의 xmlns 값만
"http://www.google.com/schemas/sitemap/0.84" xmlns:xsi="http://www.w3.org/2001/XMLSchema-instance" xsi:schemaLocation="http://www.google.com/schemas/sitemap/0.84 http://www.google.com/schemas/sitemap/0.84/sitemap.xsd"
로 바꿔주시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아마 그대로 올려도 될 듯 한데.. 구글이 별도로 스키마를 관리하는 이유는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.